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

모순 - 저자 양귀자 장편소설

 

1. 작가 소개

양귀자는 1998년 장편소설 『모순』으로 한국 문학에 강렬한 발자취를 남긴 작가입니다. 통렬한 현실 인식과 간결하면서도 울림 있는 문체가 특징이며, 현실 속 인물들의 삶 속에 숨은 불완전함과 복합성을 탁월하게 포착합니다  여러 세대를 아우르며 공감을 이끌어내는 스토리텔링 역량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2. 책 소개

『모순』은 25세 여성 안진진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성장소설입니다. 양가적 감정, 가족의 상처, 사랑과 현실 사이의 갈등 등을 통해 인간 삶의 이면—그게 바로 ‘모순’—을 진솔하게 드러냅니다. 출간 직후부터 대중적 호응을 얻으며 베스트셀러로 등극했고, 오늘날까지 2030 세대에게도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3. 줄거리

  • 주인공·가족 배경: 시장에서 내복을 파는 억척스런 어머니, 알코올 중독으로 가정 폭력을 일삼는 아버지, 조폭이 꿈인 남동생 등 불우한 가정 환경 속에서 자란 안진진 
  • 일란성 쌍둥이 모티프: 엄마와 똑같이 생긴 이모. 하지만 결혼 이후 두 사람은 전혀 다른 삶을 살아갑니다. 어머니는 고단하지만 강인하게, 이모는 여유로운 삶 속에서도 깊은 불안 속에 살아갑니다 
  • 두 남자와의 연애: 현실적이고 계획적인 나영규와 감성적이며 낭만적인 김장우. 안진진은 이성적 판단과 감정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 결말: 최종적으로 나영규를 선택하지만, 그 선택마저도 모순적이라는 자각을 남기며 소설은 마무리됩니다 .

4. 아젠다

  1. 삶의 아이러니와 선택의 불가피성
    이성적 선택이나 논리적 우월함으로 삶을 설명할 수 없으며, 우리가 마주하는 대부분의 순간은 이미 ‘모순’ 위에 서 있다는 사실을 담담히 전합니다 
  2. 가족과 관계의 복합성
    외적으로는 닮았지만 삶은 전혀 다른 쌍둥이 엄마·이모의 삶을 통해, 행복과 불행은 동전의 양면이라는 통찰을 제공합니다 
  3. 사랑과 현실 사이의 간극
    순수한 사랑만으로는 인생이 완성되지 않음을 드러내며, 안정과 자유, 계획과 즉흥 사이에서 흔들리는 감정의 진폭을 그립니다 

5. 구독층

이 책은 다음과 같은 독자층에 특히 공감을 줍니다:

  • 20~30대 청년, 특히 결혼·취업·관계에 대한 고민이 많은 직장인
  • 가족 관계의 갈등이나 상처를 가지고 있는 독자
  • 사랑과 현실 사이에서 균형을 찾고자 고민하는 감성적 인간
  • 삶의 의미와 존재의 이면에 대해 문학적으로 성찰하고 싶은 독자

6. 느낀점

읽는 도중, 저는 자꾸 **“삶은 모순이다”**라는 소설의 제목이 귓가에 울렸습니다. 간결하면서도 날카로운 문장들—

“인생은 모순이다”
“삶의 어떤 교훈도 내 속에서 체험된 후가 아니면 절대 마음으로 들을 수 없다.”
 독자로 하여금 자기 내면을 깊이 되돌아보게 만듭니다.
특히 눈에 띄는 장면은 나영규와 김장우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된 진진의 내면 독백과, 이모가 부러워하는 엄마의 삶입니다. 그 대조 속에서 “겉은 평범하지만, 속은 치열할 수 있다”는 깨달음이 오래 남았습니다 
또한, 단 하나의 정답을 추구하는 삶이 과연 나를 위한 길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지게 합니다—그게 바로 양귀자가 전하고자 하는 ‘모순’이라는 주제 아닐까요.


7. 추천동기

정답 없는 삶에 나침반이 필요할 때: 모든 것이 흑백논리가 아닌, 그 사이 어딘가에서 균형을 찾는 법을 배우고 싶다면

감정과 이성 사이에서 정체성을 고민할 때: 사랑, 가족, 직장 모두 내부의 갈등으로 다가오고 있을 즈음

문학을 통해 자기 성찰을 원할 때: 한 편의 소설이 ‘나’라는 존재를 들여다보는 거울이 될 수 있습니다

 

 

『모순』은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삶의 ‘모순’을 조용히 꺼내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하지만 그 모순 속에서, 어쩌면 우리는 비로소 ‘진짜 나’를 발견하고, 조금 더 단단해지는 계기를 만날지도 모릅니다.